[기고] 코리안드림을 맞이하는 단일문화의 벽
상태바
[기고] 코리안드림을 맞이하는 단일문화의 벽
  • 백승민 엑스프리베 CEO
  • 승인 2023.12.01 12: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승민 엑스프리베 CEO<br>
백승민 엑스프리베 CEO

올해 국내 외국인 수는 역대 최고 251만명으로 20명 중 1명이 외국인으로, 한국은 아시아 최대 다인종 국가가 됐으나 99% 순도의 K-단일문화는 코리안드림을 찾아 이 땅에 온 사람들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하버드 경제연구소의 Fractionalization 보고서는 한국을 세계에서 가장 다양성이 없는 국가로 평가한다. 이 기준은 인종, 언어, 종교의 다양성으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배달 민족의 동질성 순위는 세계 1등이며 우리의 동질성이 외국인에게 얼마나 차갑게 느껴지는지 우리 자신은 인식 못하고 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한국의 근대사는 이주와 이민의 역사다. 1902년 하와이로 간 121명의 노동자를 시작으로, 현재 180개국에 732만명의 재외동포가 있다. 일제강점기 우리는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으로 이주했고, 만주와 중앙아시아로 보내진 한국인들은 황무지에 밭을 갈아 경제를 창조했다. 한국전쟁 이후 20만명의 아동들은 각국으로 입양됐으며, 남미로 이주한 사람들은 농업으로 시작해서 패션산업을 일구었고, 광부와 간호사들은 독일에서, 건설인들은 중동에서 외화를 벌었다. 미국에선 현지인들이 피하는 가난한 지역에서 세탁소와 가발/네일샵과 슈퍼마켓을 하며 카운터 밑에는 호신용 권총을 두고 의료서비스를 포기하며 보험비를 아껴 자녀교육에 헌신했다.
 
우리의 코리안드림. 이렇게 우리는 노동력 수출로 외화를 벌고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새마을운동으로 경공업과 중화학공업을 육성해 조선, 자동차, 가전, 휴대폰, 반도체의 하드웨어를 수출했다. 서울올림픽을 기반으로 스포츠에 두각을 내고 K-팝, 드라마, 영화, 만화의 소프트웨어를 수출하다 무기 수출 강대국으로 도약했다.

지난 100년 동안 한국은 매슬로의 생리, 안전, 사랑/소속, 존중의 욕구를 차례로 충족시켰다. 하지만 마지막 자아실현의 방에 들어온 후, 더이상 결혼을 하지 않고, 출산 대신 반려동물을 유모차에 태우며, 쉽게 헤어지고, 인스타그램과 유튜브에서 자아실현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저출산과 고령화와 함께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로 이어졌고, 농사, 식당, 청소, 간병, 건설, 공장 같은 코리아 디아스포라가 타국에서 도맡았던 힘든 일을 할 한국인은 국내에 더이상 없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2.0. 블루컬러 재외동포 1세대의 후손들은 교육을 바탕으로 화이트컬러 전문직, 언론인, 정치인으로 진화했고 한국도 200등에서 10등 국가의 반열에 들어섰다. 이 성장의 원동력은 한국에서 정진하고, 중앙아시아에서 밭을 갈고, 중동 사막에 건물을 올리고, 한국의 존재도 모르는 나라에서 탄광 갱도를 파고 병원에서 환자를 돌보고 우범지역에서 장사를 하며 서러움과 아픔을 참고 자녀교육에 올인(all-in)한 분들의 침묵 속 눈물과 땀방울의 결과다.
 
모두의 코리안드림. 우리가 타국에서 받았던 고통과 한에 대한 해답은 우리 땅을 찾은 외국인들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있다.

첫째, 국가 정책도 중요하지만 우리 개개인의 의식과 배려가 선행돼야 한다. 다양성을 존중하며 차별이 없는 사회를 추구하고, 꿈을 향해 노력하는 사람들을 환영해야 한다. 필자는 미군에서 기회균등관(Equal Opportunity)이라는 업무를 수행할 기회가 있었는데, 국적, 인종, 언어, 성별, 나이, 종교, 장애의 유무, 결혼의 유무, 자녀의 유무에 따른 조직 내 차별을 방지하는 다문화 역사가 깊은 미국의 포괄적 프로그램이다. 평등의 대상과 내용은 인종과 국적뿐만 아니라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외국인노동자를 노동자가 아닌 외국인노동자라고 부르는 것 자체가 차별이며, 출신 국가와 인종이 다르다는 이유로 회식 열외를 하는 것도 차별이며, 고령자를 꼰대라고 칭하는 것도 차별이다. 중국 내 한인은 조선‘족’이고 중앙아시아 한인은 고려‘인’인데 미국 한인은 미국‘교포’라 칭하는 것도 차별이다. 모두가 ‘동포’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식당 직원의 말이 어눌해도 한국어를 배우는 분들의 마음을 헤아리는 배려심을 가지면 좋겠다.

둘째, 사회 인프라의 포괄성은 국가경쟁력에 직결된다. 외국인에게 일본의 도장문화와 중국의 만리장성 인터넷보다 어려운 한국의 공동/공증 범용/개인 인증서와 키보드보안 프로그램은 사라져야 한다. 올림픽대교 도로표지판의 ‘청담대교 방향’과 3호선의 ‘대화행’ 보다는 동서남북(EWSN)으로 표기하면 ‘Visit Korea’의 함정들이 사라지고 빨리빨리 문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 국가정책 수립 당시 그 수혜자는 100% 한국인이었으나 이제 곧 스무명에 하나는 외국인이다. 이 두 그룹을 공정하게 아우르는 ‘국민 및 영주권자의 권리와 의무’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新새마을운동. 김구의 ‘높은 문화의 힘’의 기준은 K-팝 수출도 아니고 한국을 잠시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도 아니다. 화장을 하고 옷을 차려입고 나가서 먹는 저녁식사의 대화는 매너일 뿐이며, 일어나서 민낯과 반바지에 집에서 가족과 먹는 아침식사 속 대화의 결이 진정한 문화이다. 한국에 사는 외국인이 느끼는 일상이 한국의 품격이다. 꿈을 가지고 한국을 찾은 사람들이 공정한 기회 속에 성장하고 그들의 조국이 발전하며,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정화되는 Meritocracy의 유토피아가 돼야 한다. 한국의 국익과 한국시민의 권익이 보장되는 선 안에서 우리가 단일문화의 벽을 허물고 다문화사회로 거듭나며 한국의 성장방정식과 의료 및 교육 시스템을 세상에 전파하는 新새마을운동을 기대해본다.

필자 소개: 백승민 씨는 판문점 JSA 수색소대에서 군복무를 마친 미국동포(영주권)로서 20년간 미국과 중국에 거주하며 뉴욕 월스트리트 기업 크레디트스위스와 뉴욕 회계법인 언스트앤영에서 다문화팀을 이끌었다. 현재는 서울에서 아시아의 의료기관과 의료인을 외국인에게 소개하는 디지털 헬스케어사업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