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로 깨닫다] 끔찍하게 생각하다
상태바
[우리말로 깨닫다] 끔찍하게 생각하다
  • 조현용 교수
  • 승인 2015.04.13 10: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조현용(경희대 교수, 국제교육원 원장)
  어떤 단어를 보면 극단적인 생각이 서로 만나는 경우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끔찍하다’는 말은 보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참혹하거나 진저리칠 때 쓰는 단어이다. 우리는 주로 이 때 눈을 가리게 된다. ‘눈 뜨고 보지 못할 광경’이란 말도 ‘끔찍하다’와 잘 어울리는 표현이다. ‘끔찍하게’ 여기는 것도 원래는 눈 뜨고 볼 수 없다는 생각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하지만 끔찍이도 귀하게 생각한다는 말은 정반대의 의미를 갖고 있다. ‘끔찍하다’는 말이 ‘정성을 다한다.’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극단적인 두 생각이 만나고 있는 것이다.
 
  보통은 부모가 자식을 끔찍이도 생각한다. 한국어 ‘끔찍’의 의미가 이렇게 다양하다는 것을 모르는 외국인은 부모가 자식을 엄청 싫어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끔찍이 생각하는 것은 정말로 귀하고 예쁘게 생각한다는 말을 강조하여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어찌 자식이 끔찍할 수 있겠는가? 어찌 부모가 자식을 보기 싫을 수가 있겠는가? 부모가 자식을 생각하는 것이 지나칠 정도라는 말을 강조하고 있는 표현이다.
 
  ‘예쁘다’와 ‘가엽다’는 말도 전혀 통하지 않는 말처럼 보인다. 예쁜 사람이 가여운 사람이라는 말은 이상하게 들릴 것이다. 하지만 우리말에서 ‘예쁘다’와 ‘가엽다’는 말은 서로 통하지 않을 듯 통하는 말이다. 예쁘기 때문에 보호하고, 아끼게 된다. 일본어에서도 예쁘다(kawaii)와 가엽다(kawaisouda)는 비슷한 단어이다. 일본어에서도 두 어휘의 느낌이 통하고 있다. 다른 언어도 살펴보면 비슷한 경우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모의 마음이 그렇다. 너무 예뻐서 가여운 마음이 생긴다. 쥐면 터질세라, 불면 날아갈세라 보살피는 게 부모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다고 말할 수 있는 게 자식이다. 그래서 자식은 예쁘면서도 가엽다. 안쓰럽다. 더 잘해 주고 싶은데 그렇지 못한 마음에 예쁘고도 가엽다. 가여운 것은 불쌍하게 생각하는 마음과는 좀 차이가 있다. 예쁘고 가여운 마음에는 아려옴이 느껴진다.
 
  내가 훈민정음을 보면서 ‘어엿비 여겨’라는 표현에 자꾸 마음이 가는 이유도 두 의미가 함께 다가오기 때문이다. 학자들은 ‘어엿비’를 단순히 ‘불쌍하다’의 의미 정도로 생각하지만 내가 볼 때 ‘어엿비’는 ‘불쌍하다’와 ‘예쁘다’의 두 감정이 복합적으로 담겨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그 두 감정은 그다지 다른 감정도 아니다. 예쁜 것과 가여운 것은 어찌 보면 같은 감정이다. 우리말과 중국어가 서로 달라서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한자(漢字)로 옮기지 못하는 백성을 바라보는 세종대왕의 마음이 느껴진다.
 
  어떤 단어는 ‘학자(學者)’의 눈이 아니라 ‘사람’의 눈으로 보아야 한다. ‘논리’로 보는 것이 아니라 ‘감정’으로 보아야 한다. 그러면 단어의 뜻이 더 정확하게 보인다. 논리적으로 절대 만나지 못할 것 같은 단어 속의 의미도 서로 쉽게 맞닿기도 한다. 우리는 두 극단이 만나는 경험을 할 수도 있다.
 
  나는 언젠가 어머님께서 하셨던 말씀이 늘 가슴 속에 남아있다. “너희 아버지는 정말로 너희를 끔찍하게 생각하셨다.” 나 역시 두 아들을 보면서 끔찍하다는 말을 떠올리곤 한다. 나는 ‘끔찍하다’는 단어를 감정으로 만났다. 그래서 그 의미가 참 아프다. 4월, 예전에는 4.19와 진달래꽃으로 기억되었는데, 이제는 세월호와 노란 리본으로 기억된다. ‘끔찍하다’는 말이 더욱 아프다. 


 


주요기사
이슈포토